티스토리 뷰
많은 사람이 첫 단어를 말했던 순간이나 두 번째 생일 케이크 위에서 반짝이던 촛불을 기억하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사람이 유아 시절의 기억을 거의 떠올리지 못한다. 이는 ‘유아 기억상실’ 또는 ‘유년기 기억상실’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아기였던 시절을 기억하지 못할까?
기억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는 ‘의미적 기억’으로, 주변 세계에 대한 사실과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이다. 예를 들어, 부모가 누구인지, 사탕을 받기 위해 “제발”이라고 말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에피소드적 기억’으로, 특정 순간의 경험을 생생하게 떠올리는 기억이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처음으로 바다를 보았을 때의 감정이나, 놀이공원에서 롤러코스터를 타며 소리쳤던 순간을 기억하는 것이다.
어린아이들은 의미적 기억을 통해 세상을 배우지만, 에피소드적 기억은 쉽게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뇌의 발달 과정에서 찾았다. 기억을 저장하고 떠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필라델피아 템플 대학교의 심리학 교수 노라 뉴컴은 아이들이 2~4세가 될 때까지 특정 장면을 기록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설명한다. 해마가 이 시기에 이르러서야 정보 조각을 연결하는 기능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유아기에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에피소드적 기억은 오히려 불필요한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아기들은 본능적으로 의미적 기억을 우선적으로 저장하고, 특정 사건을 자세히 기억하는 것은 덜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기존 이론에 새로운 시각을 더하고 있다. 2025년 3월 Science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생후 첫 2년 동안 해마는 이미 에피소드 기억을 인코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연구진은 4개월에서 2세 사이의 26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아이들에게 2초 동안 다양한 이미지(얼굴, 장면, 사물)를 보여준 후, 잠시 후 다시 같은 이미지와 새로운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이때 연구진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해 아이들의 해마 활동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해마의 활동이 클수록 아이들이 본 이미지를 더 오래 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해마가 이미 에피소드 기억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성인이 되어서 그 기억을 떠올릴 수 없는 이유가 단순히 기억을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2023년 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된 또 다른 연구는 더욱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특정 기억과 관련된 신경 경로를 빛으로 자극해 ‘잊힌’ 어린 시절 기억을 성인 쥐에서 되살릴 수 있음을 발견했다. 심지어 자폐증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쥐들은 유아기 기억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임신 중 어미 쥐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자폐증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새끼를 낳도록 했는데, 이 쥐들은 일반 쥐보다 유아기 기억을 더 오래 유지했다.
이는 기억과 망각이 단순히 해마의 성숙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면역 반응과 같은 다른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를 진행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토마스 라이언 교수는 “면역 반응이 일종의 ‘망각 스위치’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유아의 기억을 유지할지 잊어버릴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지만, 이 연구 결과는 유아기 기억과 망각에 대한 기존 이론을 뒤흔들고 있다.
결국, 유아 기억상실이 단순히 ‘어린 시절 기억을 저장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기존의 가설은 점점 새로운 시각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간의 기억은 단순히 뇌의 성장만이 아니라 신경 회로의 변화, 면역 반응, 그리고 우리가 성장하면서 겪는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들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유아기 기억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성인이 된 후에도 그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 감미료,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죽인다! 다이어트 음료 속 숨겨진 의학 혁명 (3) | 2025.04.08 |
---|---|
운동 중단이 길어도 근력 영향 미미… '근육 기억'의 과학적 증거 (1) | 2025.04.04 |
실제로는 건강에 좋은 '나쁜' 음식 8가지 (1) | 2025.04.01 |
생선 냄새 증후군, 땀에서 나는 썩은 생선 냄새의 비밀 (0) | 2025.03.30 |
어린이와 성인에서 ADHD 진단 증가의 원인과 의미 (0) | 2025.03.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양자위상
- 양자얽힘
- srpt
- 금성토성초승달
- 양자컴퓨터용윈도우
- 공부효율높이는법
- 양자컴퓨터
- 우주유령
- 클론시리즈
- 좀비별
- 양자인터넷인프라
- 능동학습
- 초방사상전이
- 행성공전주기
- sgr0501+4516
- 양자컴퓨터운영체제
- 프로토클론
- 현미독성
- qnodeos
- 오감활용학습법
- 건강한식습관
- 수동학습
- 양자압축
- ai창작물저작권
- 삼중합
- 인공지능
- 초정밀통신기술
- 비소용량
- Ai
- 세계양자의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